

![기존 전력망과 차이는 무엇인가요? [계통] 기존 전력망 단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대형 발전기에서 전기 생산후 전력망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 차세대 전력망 양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분산 전력망에서 전기를 생산·소비하고 자유로운 거래가 이루어지는 형태 [운영] 기존 전력망 - 중앙집중형·단방향 운영체계로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및 효율적 전력망 운영 한계 [차세대 전력망] - 인공지능(AI) 기술로 발전량과 전력수요를 예측 효율적 전력망 관리 가능](https://e-policy.or.kr/upload/editor/23d59d3a-b74b-4cbf-bf56-0fa1b6c9e765.jpg)



대한민국 전력의 미래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K-GRID)01
무엇일까요?
분산에너지(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등)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해
지역 내 에너지 생산·소비를 실현하는
지능형 전력망
무엇일까요?
분산에너지(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등)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해
지역 내 에너지 생산·소비를 실현하는
지능형 전력망
기존 전력망과 차이는 무엇인가요?
[계통]
기존 전력망
단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대형 발전기에서 전기 생산후 전력망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
차세대 전력망
양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분산 전력망에서 전기를 생산·소비하고 자유로운 거래가 이루어지는 형태
[운영]
기존 전력망
- 중앙집중형·단방향 운영체계로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및 효율적 전력망 운영 한계
[차세대 전력망]
- 인공지능(AI) 기술로 발전량과 전력수요를 예측 효율적 전력망 관리 가능
[계통]
기존 전력망
단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대형 발전기에서 전기 생산후 전력망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
차세대 전력망
양방향 [발전 - 송전 - 배전 - 소비자]
- 분산 전력망에서 전기를 생산·소비하고 자유로운 거래가 이루어지는 형태
[운영]
기존 전력망
- 중앙집중형·단방향 운영체계로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및 효율적 전력망 운영 한계
[차세대 전력망]
- 인공지능(AI) 기술로 발전량과 전력수요를 예측 효율적 전력망 관리 가능
차세대 전력망 왜 필요할까요?
탄소중립 달성 + 전력망 안정성 강화 + 지역경제 활성화
탄소중립
- 재생에너지는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수단
- 재생에너지 발전량 상승시 단방향 전력망으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에 한계
전력망 안정
- 첨단기술(AI 등)로 발전량과 전력수요 예측 및 조정
- 실시간 데이터 관리를 통한 효율적 에너지 운영으로 안정성 상승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 내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일치를 실현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스타트업 창출 및 활성화
탄소중립 달성 + 전력망 안정성 강화 + 지역경제 활성화
탄소중립
- 재생에너지는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수단
- 재생에너지 발전량 상승시 단방향 전력망으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에 한계
전력망 안정
- 첨단기술(AI 등)로 발전량과 전력수요 예측 및 조정
- 실시간 데이터 관리를 통한 효율적 에너지 운영으로 안정성 상승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 내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일치를 실현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스타트업 창출 및 활성화
정부의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향은?
1 전력 신산업 비즈니스 활성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발전사업자와 수요자 간 전력 직접거래 규제특례 적용
2 혁신적 전력시장 제도 개편
분산에너지가 통합·관리·거래되는 전력시장 제도 개편 추진
3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산업단지, 대학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해 다양한 기술을 폭넓게 실증
* 소규모 지역에서 분산에너지 및 AI 기술을 활용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전력망
4 차세대 전력망(K-GRID) 인력 양성
대학,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과의 협업으로 에너지신산업 창업 인큐베이팅,
「K-GRID 인재·창업 밸리 추진 등
5 핵심 기술 개발 사업 신설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장주기 ESS개발 등 차세대 전력망 핵심 기술 개발 추진
1 전력 신산업 비즈니스 활성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발전사업자와 수요자 간 전력 직접거래 규제특례 적용
2 혁신적 전력시장 제도 개편
분산에너지가 통합·관리·거래되는 전력시장 제도 개편 추진
3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산업단지, 대학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해 다양한 기술을 폭넓게 실증
* 소규모 지역에서 분산에너지 및 AI 기술을 활용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전력망
4 차세대 전력망(K-GRID) 인력 양성
대학,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과의 협업으로 에너지신산업 창업 인큐베이팅,
「K-GRID 인재·창업 밸리 추진 등
5 핵심 기술 개발 사업 신설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장주기 ESS개발 등 차세대 전력망 핵심 기술 개발 추진
차세대 전력망 구축으로 기대되는 미래의 모습!
1 재생에너지 활용도 상승
2 전력 계통 안정화
3 송전망 부담 완화
4 지역별 균형 발전
5 에너지 신산업 창출
차세대 전력망 구축 기대효과 정리!
1 재생에너지 활용도 상승
2 전력 계통 안정화
3 송전망 부담 완화
4 지역별 균형 발전
5 에너지 신산업 창출
차세대 전력망 구축 기대효과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