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지식백과

[에너지 지식백과] 정책편 ① 에너지믹스(energy mix)

[에너지 지식백과] 정책편 ① 에너지믹스(energy mix)

 

에너지믹스

[energy mix]

 


[요약] 말 그대로 에너지를 ‘섞는다(mix)’는 뜻으로,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 또는 각 에너지원별 비중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현대 모든 국가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바탕으로 에너지믹스를 실현하고 있다. 갈수록 늘어만 가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부터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까지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정 에너지원에만 모든 공급을 의존한다면, 에너지안보 및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국가별 에너지믹스는 천차만별이다. 자연환경, 경제성, 부존자원, 기술력, 국제 정세 등 각국의 사정에 따라 에너지믹스는 달라지기 마련이며, 이를 통해 각국의 산업 구조 및 자원 상황, 에너지 정책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의 에너지믹스는 석탄 36.3%, 원자력 27.9%, 천연가스 26.7%, 재생에너지 6.5%, 석유 1.2%, 수력 0.7%, 폐기물 및 기타 0.7%다. 일본은 산업 구조가 우리와 비슷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으로 원자력 비중이 매우 낮다(천연가스 35.2%, 석탄 29.7%, 재생에너지 12.5%, 수력 7.7%, 폐기물 및 기타 6.4%, 원자력 4.3%, 석유 4.1%). 한편 석탄발전 비중이 높은 중국(63.2%), 인도(72.1%)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영국(40.9%), 독일(40.6%)의 에너지믹스는 이들 국가들의 차이를 극명히 보여준다. 

 


[그림] 2020년 기준 세계 각국의 에너지믹스. 에너지믹스는 각국의 에너지 정책과 산업 구조, 자원 상황, 에너지 정책 등을 보여준다. 

 

 

▶ [인포그래픽] 주요 국가의 2020년 에너지믹스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2707329294  

 

 

그렇다면 탄소중립을 향한 각국의 미래 에너지믹스는 어떻게 진행될까? 각국 에너지 정책 기조에 따라 전문가들이 관련 로드맵을 작성한 후, 이를 검토 및 수정하여 집행하게 된다. 에너지정책 집행은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사회적 동의를 위한 각종 공청회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7월 5일 발표된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에 따라 2030년 원자력 발전 비중은 30% 이상으로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보급 여건을 고려하여 원별 적정 비중을 도출하는 방향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2.4분기),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3.3월) 등 관련 법정계획을 통해 정해질 예정이다.

 

 

※ 참고

주요 국가의 2020년 에너지믹스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2707329294)

미 에너지정보청(EIA) 에너지전망 2020(Annual Energy Outlook 2020)

(https://www.eia.gov/outlooks/aeo/pdf/AEO2020%20Full%20Report.pdf)

國網能源研究院有限公司(2019), 中國能源電力發展展望 2019

(https://world.taobao.com/item/wap/610644298386.htm)

독일 기후보호프로그램 2030(2019.9) 

(https://www.bundesregierung.de/breg-de/themen/klimaschutz/klimaschutzprogramm-2030-1673578)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2021.1) 

주요국 에너지정책 현황 및 추진방향 - 전경련 Global Insight(2021.3)

(http://www.fki.or.kr/images/kakao/insight_33/insight_33.pdf)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0-18호 – 에너지경제연구원(2020.9)

(https://www.keei.re.kr/main.nsf/index.html?open&p=%2Fweb_keei%2Fd_results.nsf%2Fmain_all%2F9F42C96A4ED7BBA7492585E0001CD368&s=%3FOpenDocument%26menucode%3DS0%26category%3D%25EC%2584%25B8%25EA%25B3%2584%2520%25EC%2597%2590%25EB%2584%2588%25EC%25A7%2580%25EC%258B%259C%25EC%259E%25A5%2520%25EC%259D%25B8%25EC%2582%25AC%25EC%259D%25B4%25ED%258A%25B8)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